전자정부 누리집 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 Busan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새창열기] 혁신24 홈페이지
  • 해양수산용어사전

    관한 검색결과

    총 "1,122개"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용어사전 검색결과
    • 해양 Ocean 5대양으로 구분, 대서양(Atlantic Ocean), 태평양(Pacific Ocean), 인도양(Indian Ocean), 남극해(Southern Ocean), 북극해(Arctic Ocean) * 좀 더 작은 규모로는 지중해(Mediterranean Sea), 카리브해(Caribbean Sea), 동해(East Sea), 베링해(Bering Sea) 등이 있음
    • 해양(영역)기상방송 We-Fax 항해하는 선박(원양어선, 상선, 여객선 등)이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중 하나로써 연안국의 기상청에서 전송하는 영역기상방송(WE-FAX)을 활용하며, 이를 통해 일정간격으로 주요 기상요소(풍향풍속, 하늘상태, 기압, 대기온도, 해수온도, 파고 및 너울 등)를 관측하여 현재 위치(해상)에서의 해상기상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제공되는 정보시스템
    • 해양공간자원 간척?매립에 의한 토지의 조성, 항로?항만의 개발, 해상공원?해상공항? 해상거주시설 등 해양구조물의 설치, 인공도서의 건설 등을 통해 인간생활에 유용하게 활용하도록 만든 해양공간 대상물을 말함
    • 해양관광 자신의 일상 거주지를 벗어나 바다, 섬, 어촌, 해변 등에서 여행하거나 체류하면서 휴양, 생태 탐방, 요트?보트, 낚시, 해수욕, 크루즈, 수산물 체험 등을 즐기는 행위
    • 해양광물자원 해양에 존재하는 광물자원은 해저의 표층 및 지질구조내에 존재하는 해저 광물자원과 해수중에 녹아있는 광물자원으로 대별됨. 해저 광물자원은 매장된 해저의 수심에 따라 광물의 종류와 분포양상을 달리하고 있음. 조간대와 해빈에는 다이아몬드, 금, 백금, 티탄철, 자철광, 사철주석, 사금, 중석 등이 분포하며 대륙붕 지역에는 석탄, 사철, 자철, 티탄철, 금, 주석, 인광, 석회석, 석유, 천연가스 등이 매장되어 있으며, 심해저에는 인광, 망간단괴, 망간각, 해저열수광상 등이 다량 매장되어 있음
    • 해양보호구역 해양생태계 및 해양경관 등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어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구역을 의미함. 세계자연 보전연맹(IUCN)에서는 바다, 조간대, 해저와 그 지역에 서식하는 생물, 역사적/문화적 유산이 법/제도와 기타 관리수단에 의해 보전적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이라고 정의하고 있음.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5조와 습지보전법 제8조에 근거하여 해양생물보호구역, 해양생태계보호구역, 해양경관보호구역으로 구분됨
    • 해양산성화 1800년대 산업화가 시작되면서 화석연료의 사용 증가에 따라 불과 100년 사이에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280ppm에서 380ppm으로 증가하였고, 최근 수십년 동안 그 상승속도가 급격히 빨라져 2001년 IPCC 보고서에 의하면 이산화탄소 저감 노력을 하지 않을 경우 2100년에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970ppm까지 상승하고, 2300년에는 1900ppm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음. 산업혁명 이후 대기로 방출된 이산화탄소의 약 절반 정도가 해양에 흡수되어 해수의 산성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해수는 약알칼리성이지만, 해수에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면 해수의 알칼리성이 약화되기 때문에 해양 산성화라고 함
    • 해양생명공학 marine biotechnology 해양생물이 지닌 각종 물질변환, 정보변환, 에너지 변환의 기능을 직접, 간접으로 이용하여, 인간이 필요로 하는 각종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려는 제반 기술을 해양생물공학이라 함. 대상생물은 크게 해산동물, 해조류, 미생물로 분류됨. 이중 특히 미세 해조류나 미생물은 대형 해조류나 해산동물에 비해 성장이 빠르고 인공적인 대량배양도 가능하며, 유전자 재조합이나 단백질공학 같은 새로운 생물공학기술을 적용하기가 비교적 용이하고 각종 유용성분을 갖고 있는 종류가 많아 해양생물 중에서는 유용성이 가장 높은 대상으로 기대되고 있음 주요 연구분야는 해양미생물이나 미세 해조류에 대한 유전자 재조합, 대형해조류의 세포융합, 해산 동물의 염색체 조작 등을 통한 해양생물의 육종연구, 유용한 생리활성 물질 검색을 통한 항암제, 항에이즈제, 항균제, 항종양제, 특수효소 등의 개발, 생물의 방어물질, 변태촉진물질, 호르몬 등의 의약품 소재로 개발, 해양생물이 갖는 내염, 내한, 내열, 내압, 광합성, 질소 고정, 질소 환원, 부유, 발광, 주사성 등의 각종 기능을 해명하여 신경, 발생분화, 감각 등의 작용 원리를 해명하려는 시도, 전기나 자기, 음파 등의 물리적 수단을 도입하여 해양생물을 대량으로 배양하거나 양식하려는 연구 등임
    • 해양생물 부유생물(plankton), 유영생물(nekton), 저서생물(benthos) 등
    • 해양생태계교란생물 marine ecosystem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거나 유전자 변형을 통하여 생산된 유전자 변형생물제 중 해양생태계의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유려가 있는 해양생물을 말함
  • 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확인
    • 부서 :
    • 연락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