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누리집 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 Busan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새창열기] 혁신24 홈페이지
  • 해양수산용어사전

    관한 검색결과

    총 "1,122개"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용어사전 검색결과
    • 파랑의주기 Period of wave, T 골(trough) 또는 마루가 한 고정점을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
    • 파렛트 pallet 화물을 일정 수량 단위로 모아 하역·보관·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역 받침으로서, 지게차의 지겟날이 들어올 입구가 있음. 파렛트는 물류 표준화의 기본인 유닛로드 시스템의 기본수단이 되는 것으로 수송 장비의 적재효율을 높이고 자동설비와 장비와의 정합성이 있음. 거래처와 일관 파렛트화를 가능하게 하고 파렛트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파렛트의 표준화가 요구되고 있음
    • 파력발전 Wave power generation 파력발전은 주기적으로 운동하는 파도의 위치 및 운동에너지를 가용에너지 (낙차, 기계운동 등)로 변환하는 1차 변환, 이로부터 발전기 구동을 위한 에너지로 전환하는 2차 변환 그리고 발전기를 통한 전력 생산 단계인 3차 변환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해냄.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지만,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2차 변환장치에 이르기 전 단계인 1차 변환에 있어서 파도의 위치 및 운동 에너지를 직접 이용하는가 혹은 다른 형태로의 변환을 거치는가에 따라 가동물체형, 진동수주형, 월파/월류형으로 구분 파력에너지는 바람에 기인한 풍파나 너울에서 가장 큰 분포를 차지하는 관계로 깊은 외해 수심에서 개발하기 적합한 에너지. 관련 전문가들은 연간 2,000tw 가량 전력이 파력발전으로 생산될 것으로 예측. 파력발전이 가장 활발한 영국의 경우, 전체 전력수요의 20%를 해양에너지로부터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 중 5%가 조류 에너지, 나머지 15%를 파력에너지로부터 얻을 것으로 예측 * 가동물체형 파력발전 방식 : 파의 상하운동, 회전운동 등을 유체(해수, 파랑)에 접촉된 물체에 직접 전달하여(연성운동)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으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는 방식 * 월파/월류형 파력발전 방식 : 파랑의 진행방향에 사면을 두고 월파시킨 파를 후면에 저수함으로써 평균해면과의 수두차(위치에너지)를 형성(1차 변환)하고, 이를 저수지 하부에 설치한 저낙차용 수차 터빈으로 발전(2차 변환)하는 방식 *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방식 : 주기적으로 진동하는 파의 운동으로부터 수주(水柱) 내의 왕복성 공기류나 수류를 형성시키고 이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는 파력발전. 특히 왕복 공기류를 형성하여 공기터빈을 구동하도록 고안된 파력발전장치는 효율면에서는 낮은 위치를 차지하지만, 중요 기계류가 해수와 분리된 별도 공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장치 자체의 신뢰도가 매우 우수하고, 안전성 및 유지보수 편이성 면에서도 탁월하여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실증플랜트 운용실적을 가짐.
    • 파속 Wave speed, C 파의 진행속도
    • 파장 Length, L 골과 골 또는 마루와 마루간의 수평거리
    • 파향 Direction of wave propagation 파랑의 진행방향
    • 판과 암석권 이 두 용어는 거의 동의어로 쓰이고 지구 표층부를 이루는 유동하기 어려운 층을 나타냄. 이 층의 운동을 논할 경우에는 ‘판’이라는 용어가 또 지구표층 부근의 성층구조를 지칭할 경우에는 암석권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향이 있음
    • 판구조론 Plate tectonics 지구표면을 덮고 있는 암석층으로 이루어진 유동하기 어려운 여러 개의 판이 서로 영향을 미침에 따라 지구표층부의 각종 구조변동 및 지진 등의 지질학적 현상을 일으킨다는 학설
    • 펌프준설선 suction dredger 강력한 펌프에 의하여 해저의 토사를 물과 함께 빨아 올려서 준설하는 준설선. 박지 및 항로의 수심을 깊게 하거나 또는 하천의 퇴적 토사를 제거함과 동시에 송토관으로 빨아올린 토사를 멀리 원거리로 배출하여 매립하는 매립겸용의 것이 많음. 보통 동력은 전기이지만 디젤인 것도 있고 소형의 것은 증기인 것도 있음. 일반적으로 비항선이지만 자항식의 것도 있음. 흡입구에는 커터를 갖는 것이 많으며 비항식의 것은 스퍼드를 사용하여 위치를 고정. 미국에서는 하이드롤릭 드레저(hydrolic dredger)라고 부름
    • 편의치적 선주가 선박을 자국에 등록할 경우 받게되는 세금등과 같은 경제적 규제와 엄격한 선원 고용조건을 회피함으로써 이윤을 극대화하고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선박을 자국에 등록하지 않고 제3국에 등록하는 것을 말함. 미국 일본 등 주로 선진 해운국 선주들이 행하고 있으며 파나마, 라이베리아, 온두라스, 키프로스 등이 편의치적국임
  • 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확인
    • 부서 :
    • 연락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