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누리집 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 Busan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새창열기] 혁신24 홈페이지
  • 해양수산용어사전

    관한 검색결과

    총 "1,122개"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용어사전 검색결과
    • 컨테이너선용선지수 HRCI(Howe Robinson Container Index) Howe Robinson사(英)가 ’97.1.15 기준(HRCI=1,000)으로 발표하는 컨테이너선 종합 용선지수
    • 컨테이너선운임지수 CCFI(China Container Freight Index) 中 교통부 주관으로 상하이港 항운교역소에서 ’98.1.1 기준(CCFI=1,000)으로 발표하는 종합 운임지수
    • 컨테이너장치장 container yard, container stacking area 선박에서 컨테이너 적재 양·하를 위해 선박회사나 그 대리점이 지정한 컨테이너를 보관 또는 인도하는 장소로, 보통 컨테이너 야드 또는 컨테이너 장치장이라고 통칭함. 부두내 컨테이너 터미널 시설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터미널 내에 보관하는 on-dock CY(container yard)와 터미널 외곽지역인 사설 CY, 즉 off-dock CY로 구분됨
    • 컨테이너크레인 C/C(Container Crane)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부두로 하역하고 부두에 있는 컨테이너를 배에 선적하는 컨테이너 전용 크레인. gantry crane(G/C), rail mounted quay crane(RMQC) 혹은 포테이너(portainer) 또는 키사이드 컨테이너 크레인(quay-side container crane) 등 여러 가지로 부르고 있으나 KS규격에 표기된 것과 동일하게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하는 것이 타당
    • 케이슨 caisson ① 항만에서 철근 콘크리트제의 상자 모양의 것으로서 부양식 독(dock)이나 육상에서 제작되고 해상을 예항선(曳航船) 또는 기중기선에 의해 매달려 현장으로 운반되어 방파제 또는 중력식 구조의 안벽 본체로서 설치됨. ② 수중의 구조물 또는 기초를 구축하기 위하여 주로 철근 콘크리트로 만든 상자 모양이나 원통 모양의 구조물로, 미리 지상에서 제작한 다음에 부가하중 또는 굴착에 의해 땅속이나 물속에 침하시켜 설치하는 본체 혹은 기초구조물. 우물통, 공기케이슨을 총칭하여 케이슨이라고 하기도 함 케이슨은 그 자체가 큰 단면을 가지며 말뚝 기초에 비해 지지력이나 수평 저항력이 크고 또는 수중 시공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음. 또한 케이슨은 기초로서 이용되는 것 외에 직사각형 단면인 것을 1열로 배열하여 침하시켜 서로 통하게 하여 지하철이나 건물의 지하실 등으로 만들 수 있음
    • 타각지시기 Rudder Angle Indicator 실제로 회전한 타(Rudder)의 각도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보통 선교(Bridge)에 장치됨
    • 태양조 Solar tide 태양에 의해 생기는 조석
    • 태음조 Lunar tide 달에 의해 생기는 조석
    • 테트라포드(TTP) tetrapod 파랑의 소파(消波)를 위해서 피복석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이형(異型) 블록으로, 4개의 뿔 모양으로 생겼으며 방파제 및 호안 등에서 사용되어 파랑에너지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함. 프랑스의 Neyrpic사에서 1949년에 개발한 이 콘크리트 이형 블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음. ① 피복층이 거친 면이 되어 투과성이 좋으므로 파압, 파의 기어오름 및 반사파를 감소시켜 파의 에너지를 감소시킴. ② 블록은 서로 엇물려 안정한 급경사의 비탈면에서 시공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단면을 얻을 수 있음. ③ 블록의 중심위치가 낮고 안정성이 좋아 콘크리트 블록에 비하여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음. ④ 시공에 있어서 특별한 주의가 필요 없음
    • 토운선 barge, sand carrier 준설선으로 굴착한 토사를 운반하고 버리기 위해 사용되는 배로 자항식과 비항식이 있지만, 대부분 비항식이므로 끌배에 의해 예인됨. 이 배는 보통 선창을 갖고 있으며 선창의 밑문이나 옆문을 개폐하여 토사를 지정한 장소에 버림. 흙을 버리는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 * 밑문토운선 저개식(底開式), bottom hopper barge * 옆문토운선 측개식(側開式), side hopper barge * 경도식토운선(傾倒式土運船), tumbling type hopper barge
  • 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확인
    • 부서 :
    • 연락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