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용어사전
-
관한 검색결과
총 "1,122개"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위성항법중앙사무소
DGPS Central Office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GPS 위치오차를 1m 이내로 보정하여 실시간으로 방송하고, 위성의 고장 및 오작동을 경고할 수 있는 위성항법보정시스템 (DGPS)을 구축·운영하기 위하여 설립된 해양수산부 소속기관으로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위치하고 있음
-
위판장
시·도지사가 어업인이 포획·채취 또는 양식한 수산동식물과 그 제품을 위탁 판매할 수 있도록 지정한 장소
※ ’12년말 현재. 11개 시?도에서 206개소에 대하여 위판장 지정 고시
-
위험·유해물질
HNS(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73/78 MARPOL(개정포함)의 부속서ⅠⅡ, 부록ⅠⅡ에 등재되고 산적으로 운송하는 기름과 유해액체물질 및 오염등급이 A, B, C, D로 잠정적으로 분류된 물질과 혼합물. 83년 IBC Code(개정포함) 제1.1.3항의 규정에 따라 주관청과 항만당국에 의해서 사전에 적절한 조치가 요구되는 제품. IMDG Code (개정포함)에 의해 포장된 형태의 위험, 유해 및 위해 물질, 물건 및 제품을 말함
-
위험물운반선
선체구조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화물창 또는 선체에 고정된 탱크 등에 석유류·화학류·고압가스·방사성 물질 등 폭발의 위험이 있거나 인체에 유독작용을 미치는 독물 등으로 해양수산부령인 「위험물선박운송 및 저장규칙」에서 규정한 위험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선박을 말함
-
위험물운송적합증서
Document of Compliance
해상에서의 인명안전에 관한 협약(SOLAS) 제 2-2장 제54규칙에 따라 해당 선박이 위험물운송에 적합한 구조 및 설비를 갖추었음을 증명하는 증서
-
위험물적하목록
Special List / Manifest
위험물 및 해양오염물질을 운송하는 선박에는 해상에서의 인명안전에 관한 협약(SOLAS) 제7장 및 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부속서 제3장 제4규칙에 따라 선내 위험물과 해양오염물질 및 위치를 표시한 특별목록 또는 적하목록이 비치되어야 함
-
위험물컨테이너점검
CIP (Container Inspection Program)
항만으로 반입되는 위험물을 수납한 컨테이너와 용기에 대하여 국제해상 위험물규칙 준수여부를 점검하는 제도
-
유가보조금(유류세연동보조금)
2001.6월 정부의 에너지 세제 개편으로 경유 및 LPG에 부과되는 유류세가 인상됨에 따라 운수업계의 부담 완화를 위해 그 일부 또는 전부를 보조금으로 지원하는 제도
-
유럽해사안전청
EMSA(European Maritime Safety Agency)
대형 해양사고에 대한?유럽차원의 체계적인 공동대처를 위해 2002년 설립된 기관으로 EU 국가 간의 항만국통제 활동 조율, 정부대행 선급 심사, 항행정보 제공, 해사안전정책 및 법규 제정 등에 대한 기술적 지원 등을 담당
-
유류오염
유류는 해양에 유출된 순간부터 대기와 해수와의 접촉을 통하여 확산, 증발 등의 물리·화학적인 변화와 미생물 분해 등에 의한 생물학적인 변화를 일으킴. 이러한 변화과정은 일차적으로 유류의 종류, 비중, 점도, 유동성 등의 물리·화학적인 특성과 유출량에 따라 크게 다르며, 기타 해상 기상조건 및 해면상태 등에 따라서 그 변화양상이 달라짐. 특히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에서 신조어 형태로 나타난 오일 볼(Oil ball)은 휘발성분들이 대기 중으로 휘발된 후 점성이 높아진 기름 덩어리가 해수 중의 입자물질들과 반응하여 밀도가 커지면서 저층으로 가라않게 되는데 그 형태가 볼 형태로 둥글다는 의미에서 유래됨. 유조선이 대형화 되면서 선박사고에 의한 해상유류오염사고는 점차 대형화되고, 세계적으로 큰 사고는 1967년 테리케년호사고를 시작으로 최근까지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해양생태계에 많은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