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용어사전
-
관한 검색결과
총 "1,122개"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양식
Aquaculture
수산종자(종묘)(水産種子(種苗))를 만든 다음, 만들어진 종자(종묘)를 사육 하거나 성장시켜 식용이나 기타 목적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 즉, 종자(종묘)생산과 양성(養成)을 통틀어 말함
-
양조망어업
Round haul net
총톤수 8톤미만의 동력선으로 사각형의 그물을 사용하여 어군을 둘러친 후 그물을 죄어 대상물을 잡는 어업
-
양하
선박으로부터 화물을 내리는 행위(↔ 적하, 선적)
-
양허관세
WTO 등 국제기구에 의한 협상과 쌍무협상 결과를 이행하기 위해 양허된 품목에 적용하는 관세
-
어간유
수산동물의 간장에서 추출한 유지 또는 이를 원료로 하여 농축한 것으로서 비타민 A를 함유한 것
-
어군
Fish school, Fish shoal
일반적으로 어군이라 하면 동일 어종으로 거의 같은 체장을 한 고기가 같은 행동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집어등 밑에 모인 고기는 여러 어종이 모일 때도 있고, 같은 어종이라도 체장이 다를 때가 있음. 어군의 조성은 노대(老大)한 것을 선두로 하고 점차 유소(幼小)한 것이 일반적인 경향. 군을 형성하였을 때는 일종의 집합색을 나타내며, 이 어군의 색은 고기의 채색 외에도 수색, 회유의 깊이, 속도, 군의 농밀도 등에 따라 달라짐. 어류는 일반적으로 밀집하여 행동하는 성질이 있으며, 특히 색이와 산란의 시기에 이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와 같은 어류의 군집체를 어군이라 함
-
어군탐색
Fish scouting
과거에 어획한 실적을 분석해 보면 그 생물이 살기에 알맞은 조건을 규명할 수 있고, 이것을 이용하여 대상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해역을 발견할 수 있음. 이와 같이 제 1차 탐어(探魚)는 과거의 해황이나 어획물의 상태를 통해 가능하나, 직접 어획하기 위해서는 갈매기 떼의 움직임, 바다의 색 변화, 망통에서의 관찰 또는 비행기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음
-
어군탐지기
Fish finder
어군 탐지기는 초음파의 지향성(指向性)을 이용하여 어군의 분포층, 분포 농도, 해저의 상황 등을 탐지하는 것. 원리는 지속 시간이 짧은 단속파를 보내어서 그것이 어군이나 해저 등의 물체에 부딪혀 메아리가 반사되어 오는 시간으로써 그 거리를 판별하고, 또 메아리의 세기로써 그 물체의 성질을 판별하는 것임
-
어도
Fish way
하천 중간에 댐을 만들어 하천수를 산업용, 농업용, 발전용 또는 음용수로 이용할 때, 하천을 오르내리는 어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됨. 이 영향을 적게 하기 위해서 댐 근처에 고기가 자유롭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수로를 만들어 줌. 만드는 방식은 수로식, 엘리베이터식, 갑문(閘門)식 등 여러 가지. 계단식은 사다리와 같이 보이기 때문에 어제(魚梯, fish ladder)라고도 함 *어도의종류 : 계단식, 아이스하버식, 버티컬슬롯식, 도벽식
-
어로장
Master fisher man
어로 작업에 있어서 총 지휘자를 말하며 여러 척의 배로 작업하는 경우 각 배마다 선장이 있더라도 주선(主船)과 종선(從船)의 선장은 물론 기타 보조선의 선원들도 모두 어로장의 지휘를 받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