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용어사전
-
관한 검색결과
총 "1,122개"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수중익선
Hydrofoil craft
최유체력에 의하여 비배수량 상태에서 선체가 수면상부로 완전히 지지되는 고속선
-
수집상
개설자에게 등록하고 농수산물을 수집하여 농수산물 도매시장과 농수산물 공판장에 출하하는 영업을 하는 자
-
수치모형실험
numerical simulation test
컴퓨터를 사용하여 파랑의 천수, 굴절 회절 및 해저 마찰 등 여러 가지 변화실험과 항내 정온도 실험, 조성 조류 및 표사이동 실험과 오염물질 확산 실험, 선박운항 실험 등 항만 및 해안의 제반 여건 변화를 짧은 시간과 적은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실험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소형구조물이나 협수로 실험 등에는 적용이 어렵고 실제의 상황을 보완하는 장치가 없을 경우 현실과 맞지 않는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음
-
수하식양식
Hanging culture
양식대상생물을 수중에 매달아 기르는 것. 바닥 양성이나 다른 양성법으로서 양성하는 것보다 생장이 좋고, 바다를 입체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음. 이 방법으로 양성하는 것은 굴, 진주 조개, 진주 담치, 가리비, 피조개, 멍게, 미역, 다시마 등이 있음
-
순톤수
Net Tonnage
직접 영업행위에 사용되는 장소. 즉 여객이나 화물의 운송용으로 제공되는 용적을 뜻함. 즉, 총톤수로부터 기관실, 선원실, 조타실 등 선박운항에 이용되는 선재 용적을 공제한 나머지 부분을 톤수로 환산한 수치. 등부(登簿) 톤수 라고도 함. 총톤수와 같이 100입방피트=1톤으로 계산하며 총 톤수의 약 65% 정도에 해당함. 1982년 7월 18일부로 발효된 IMO 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on Tonnage Measurement of Ships, 1969)에 의하여 그 측정방법이 통일 되었으며, 순톤수는 직접 상행위를 하는 용적임. 항세, 톤세, 운하통과료, 등대사용료, 항만시설사용료 등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단위
-
순환류
Gyre
흘러오던 방향으로 다시 방향을 바꾸어 흐르는 바닷물의 흐름
-
순환식양식
같은 물을 여과시킨 후 순환해서 쓰는 양식으로, 물이 적은 곳에서도 양식할 수 있고, 단위 면적당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설비 비용이 많이 들고, 전력 등 경비가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수질이 차차 변화한다는 단점도 있음. 여과재로는 모래, 자갈, 활성탄 및 그라스 우울 등을 사용
-
스톡홀름협약
Stockholm Convention on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로부터 인간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국가간 합법적이고 구속력 있는 POPS에 관한 국제협약으로 국제연합환경계획(UNEP)이 주도하여 2001년 5월 22일 채택되었음
-
스파부이
Spar Buoy
부력실이 수중에 들어가는 구조로 침추와 표체가 바로 연결되어 이출거리가 발생하지 않는 고정식 부표
-
승망어업
길그물의 끝에 헛통을 설치하고 헛통에 자루그물을 달아 길그물을 따라 유도된 어군이 자루그물로 들어가게 하여 대상물을 포획하는 어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