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용어사전
-
관한 검색결과
총 "1,122개"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선원대피처
과거 도시의 주민 피신용 성채를 의미. 해사분야에서는 해적 피습 시 선원이 안전하게 대피하여 선박 피랍을 지연시키고, 함정의 군 구출작전이 가능케 할 목적으로 선박의 은밀한 장소에 설치된 공간을 의미
-
선원의 훈련·자격증명 및 당직근무의 기준에 관한 국제협약
STCW(International Convention on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for Seafarers, 1978)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통한 해양사고를 예방하고자, 선원의 훈련과 자격에 관한 사항, 당직근무 기준에 대한 국제적인 기준을 규정한 협약으로서, 최종 개정은 2010년 필리핀 마닐라 외교회의에서 채택됨
-
선인망어업
Drag nets
무동력선 혹은 5톤미만의 동력선을 사용하여 자루의 양쪽에 기다란 날개가 달린 그물을 배 가까이에 투망해 놓고 끌줄을 오므리면서 당겨 그물을 배로 끌어 들여서 대상물을 잡는 어업
-
선주상호보험
P&I
선박운항시 발생한 해난사고로 인해 제3자가 입은 피해(유류오염, 인명사상, 화물손상 등)에 대한 배상책임을 선주 상호간에 담보하는 보험
-
선회장
turning basin
항만내 선박이 안전하게 선회할 수 있는 수역. 선박이 부두에 접안시 또는 이안 후 항해를 위하여 방향을 바꾸는 장소. 선회장은 바람, 조류의 영향, 예인선의 유무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안전한 선회가 되도록 충분한 넓이로 계획하여야 함
-
설계조위
design tide level
항만 및 해안구조물 설계에 쓰이는 구조물에 가장 위험하게 작용하는 해수면의 높이로 함. 마루높이 결정을 위한 설계조위는 조석 이외에 폭풍해일, 지진해일 및 부진동을 고려하고 또한 과거의 조극조위 및 저극조위의 관측자료를 참고로 하며 구조물의 목적에 따라 같은 목적의 구조물이라도 설계계산의 목적에 따른 설계조위를 쓸 경우가 있음. 일반적으로 설계조위는 과거의 이상조위의 발생확률 곡선을 얻어 외삽법으로 어떤 재귀년수(50년, 100년 등)에 대한 조위를 산출하여 얻음
-
설계파
design wave
항만 및 해안구조물 설계에 적용하는 파랑. 항만설계의 경우 설계외력으로 50년 재현빈도의 유의파를 주로 사용함. 외곽시설 구조물의 설계에서 외력으로 고려하는 파. 일반적으로 1/3 최대파(유의파)를 쓰지만 특수한 경우에는 1/10 최대파, 또는 최대파를 쓸 때도 있음. 항만이나 해안의 일반적인 배치계획도 포함할 때는 계획파라고 할 때도 있음. 설계파는 구조물의 사용목적, 중요도, 재료의 내구년한 등에 따라 달리 사용
-
성층현상
Stratification
해양에서 해수는 따뜻하고 가벼운(저밀도) 해수가 표층을 이루고, 차고 무거운(고밀도) 해수가 저층에 있는 현상
-
세계무역기구
WTO, World Trade Organization
1995.1.1,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체제를 대신하여 세계무역질서를 세우고 UR(우루과이라운드) 협정을 이행토록 감독하여 모든 교역 분야에서 자유무역질서를 확대시키기 위하여 설립된 국제기구로서 2013년 현재 우리나라(1995년 가입)를 포함하여 158개 회원국임
-
세계해사대학
WMU(World Maritime University)
UN 산하전문기구인 국제해사기구(IMO)에서 해사분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83.7. 스웨덴 말뫼에 설립한 학교로 세계 각국에서 파견된 해운·항만·조선분야 공무원 및 해운선사 직원 등 세계 163개국, 3,400여명 졸업(’12년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