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용어사전
-
관한 검색결과
총 "1,122개"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선박관리업
국내외의 해상운송인, 선박대여업을 경영하는 자, 관공선 운항자, 조선소, 해상구조물 운영자, 그 밖의 선원법상의 선박소유자로부터 기술적ㆍ상업적 선박관리, 해상구조물관리 또는 선박시운전 등의 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탁하여 관리활동을 영위하는 업을 말함
-
선박국적증서
선박의 국적을 증명하는 증서로서, 해운관청에 선박(총톤수 20톤이상)을 등록할 때에 교부하게 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선박서류임
-
선박모니터링시스템
VMS / Vessel Monitoring System
선박자동식별장치(AIS), 무선테이터 통신(VHF), 위성통신장비 등 선박위치 발신장치를 통해 선박의 위치나 속력 등을 전자해도 화면에 표출하여 선박의 운항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
선박번호
Ship Official Number
선박의 명칭 외에 선박을 식별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선박마다 고유한 번호(기호와 고유번호로 구성됨)를 사용하며 해운관청에 선박을 등록할 때 선박법령에 따라 해운관청이 지정·부여함(예 : BSR 689999)
-
선박안전관리 평가지수
TF(Target Factor)
개별 선박의 기국, 선령, 출항정지 이력 등을 고려하여 선박의 안전관리 수준을 산정한 지수로 지수가 높을수록 안전관리 수준이 떨어지는 선박을 의미하며, 아·태지역 항만국통제 협력체 회원국들은 자국의 항만에 입항한 외국적선의 TF를 참고하여 항만국통제(PSC) 대상선박을 선정하는데 활용하고 있음 * Low(10이하), Medium(11~39), High(41~99), Very High(100이상)
-
선박안전관리증서
선박이 최초인증심사나 갱신인증심사에 합격하면 심사기관이 그 선박에 발급하는 증서
-
선박안전기술공단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정부의 선박검사업무 등을 대행하고 선박 또는 그 시설에 대한 기술의 연구·개발 및 보급을 목적으로 1979년에 설립된 정부 산하기관으로 본부는 인천에 소재하고 국내 15개 지부가 있음
-
선박에너지효율관리계획서
SEEMP(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총톤수 400톤 이상의 국제항해선박에 비치하여야 하는 계획서로 선박의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계획의 수립·시행·감시·평가 및 개선 등에 관한 절차 및 방법을 기술한 문서
-
선박연료유협약
Bunker convention(International Convention on Civil Liability for Bunker Oil Pollution Damage, '01)
Bunker convention 협약은 유조선 이외의 일반선박에 의한 유류오염 피해보상을 위한 책임보험을 의무화하는 연료유 협약으로 ’08.11.21 발효되었으며, 오염피해에 대한 신속한 구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주책임제한을 의무화 한 것으로 우리나라는 ’09.8.28가입
-
선박위치추적시스템
VMS(Vessel Monitoring System)
선박에 설치된 단말기에서 발사된 선박위치신호가 육상기지국이나 인공위성을 통해 해양수산부 종합상황실에 전송되어 전자해도 화면에 표시되는 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