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누리집 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 Busan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새창열기] 혁신24 홈페이지
  • 해양수산용어사전

    관한 검색결과

    총 "1,122개"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용어사전 검색결과
    • 마비성패류독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진주담치(홍합), 굴, 바지락, 피조개, 가리비 등과 같은 이매패류가 먹이 생물인 알렉산드륨(Alexandrium) 속의 타마랜스(Tamarense), 카테넬라(Catenella)등의 유독 플랑크톤이 대량 발생하였을 때 이들 플랑크톤을 섭식함으로써 플랑크톤 자체가 갖고 있는 독(毒)이 패류의 체내에 축적됨. 이러한 독이 축적된 패류를 사람이 먹었을때 마비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마비성 패류독이라고 명명된 것임
    • 마비어구 Stupefying gear 다이나마이트나 유독성 약품을 사용하는 어법으로 자원 보호상 금지되어 있으나 밀어(密漁)의 방법으로 사용. 또 마비의 방법으로 곤봉이나 비구(飛具) 그리고 전류를 사용하기도 함. 민물에서는 전기의 전도율이 낮아서 전력 소비가 크지 않아 전기 어법이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나, 해양에서는 전도율이 높아 전력 소비가 커서 아직은 연구 단계에 있음
    • 마셜링 Marshalling 선박으로부터 양하된 컨테이너를 부두 밖으로 수송하기 위하여 또는 컨테이너를 선박에 적하하기 위하여 부두 내에서 이동, 정렬하거나 잠시 대기시키는 것
    • 마운드 mound 해저에 사석이나 모래를 투입해서 축조하는 항만구조물의 기초부분
    • 만 bay, gulf 육지로 깊게 들어간 바다를 말하며, 멕시코만·벵골만 등과 같이 큰 규모의 것부터 경기만·진해만·원산만처럼 소규모의 것까지 있음. (유엔해양법협약 제10조) 만이라 함은 그 들어간 정도가 입구의 폭에 비하여 현저하여 육지로 둘러싸인 수역을 형성하고, 해안의 단순한 굴곡이상의 뚜렷한 만입을 말함. 그러나 만입면적이 만입의 입구를 연결한 선을 직경으로 하는 반원의 면적보다 적은 경우에는 만으로 보지 아니함
    • 만재흘수 full draft 화물을 가득 실은 상태에서 킬의 아랫면에서 흘수선까지의 수직거리. 만재흘수선 계산에서 산출하는 값은 선체 중앙부에서 보아 킬 윗면부터의 것을 가리키며 또 설계도에서는 킬과 접해 있는 바깥판 윗면부터의 것을 취하는 경우도 있음
    • 만재흘수선 항해의 안전상 충분한 예비부력을 가지고 화물 및 선용품을 최대로 적재 하였을 때의 최대한계표시로서, 선박의 양측(좌·우현)에 특정한 선으로서 표시
    • 만조 high water, high tide, HW 간조(low water)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조석현상에 의해 해수면이 하루 중에서 가장 높아진 상태를 말하며, 고조(高潮)라고도 함. 과학적으로 말하면, 창조(flood tide)에서 해면이 가장 높아진 상태임. 만조는 주기적인 조석력(tidal force)에 의해 생기지만, 기상 및 해양 상태도 영향을 미침. 우리나라의 경우 만조는 보통 하루에 2회 있으나 해수면의 높이는 다르며, 만조에서 다음 만조까지의 시간간격은 평균 12시간 25분으로서, 매일 약 50분씩 늦어짐
    • 망간각 열수공에서 분출한 금속들이 해수내를 장거리 이동하는 동안 서서히 침전하여 해저면에 골고루 퇴적되는 퇴적층(망간단괴는 망간각과 비교하여 볼 때 니켈, 코발트, 구리의 함량이 높음)
    • 망간단괴 manganese nodule 해수에 용해되어 있는 금속 이온이 평균 5천미터 깊이의 심해저 퇴적물 위에 가라앉아 형성된 검은색 광물덩어리로서 퇴적물위의 상어 이빨이나 돌멩이 등을 핵으로 하여 침착. 마치 나무의 나이테처럼 동심원을 이루면서 퇴적층에서 2~6㎜가 쌓이는데 1,000년이 걸리며 주요 함유 광물은 망간, 구리, 니켈, 코발트 등임 망간단괴는 수심 4-6천 미터의 심해저면에 상당량이 부존, 직경이 1~25cm 정도로 망간과 철 산화물로 구성, 정부는 2000년 대통령 주재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의 상업 생산 여건을 갖춘다는 방침을 확정지은 바 있음 * 우리나라도 UN에 태평양 심해저 광구(15만㎢)를 ’94.8월에 등록하고 단독개발광구 7.5만㎢를 확보(’02.8) 후 우선채광지역 4만㎢를 ’07.2월에 선정하여 망간단괴 채광을 위한 본격적인 연구활동을 벌이고 있음
  • 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확인
    • 부서 :
    • 연락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