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누리집 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 Busan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새창열기] 혁신24 홈페이지
  • 해양수산용어사전

    관한 검색결과

    총 "1,122개"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용어사전 검색결과
    • 단파봉파 여러 방향으로 진행되는 파가 중첩되어 파봉선이 짧게 끊어지는 것처럼 보이는 파. 자연상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의 파랑. 절파(切波)라고도 함
    • 담수쐐기현상 대양의 동쪽에서 생기는 광범위한 용승현상이나 거대한 강의 하구에서 배출된 담수가 해수위를 얇게 덮은 채 퍼져나가는 현상
    • 대기온실효과 대기중에서의 수증기, 탄산가스, 메탄가스 등이 지표면으로부터의 장파복사에너지의 흡수, 재방출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대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현상
    • 대륙대 Continental rise 해저협곡이 대양저와 만나는 부분
    • 대륙붕 continental shelf 대륙이나 큰 섬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으며 경사가 완만한 상태인 깊이 200m이내의 바다 밑. 해양법 협약상의 대륙붕이란 해안에 인접되어 영해 밖으로 뻗친 해저지역의 해상 및 그 지하로서 대륙변계(大陸邊界), 외연(外延)이 영해기선으로부터 200해리 내에 있는 경우에는 200해리까지, 200해리밖에 있는 경우에는 350해리 또는 2,500m 등심선으로부터 100해리까지를 말함 (해양법협약 제76조)
    • 대륙붕단 대륙붕이 끝나고 대륙사면이 시작되는 곳으로 아마도 가장 최근의 빙하기때의 해안선에 해당되며, 이곳을 중심으로 해수에 의한 침식과 퇴적이 진행되어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생성원인은 아직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 대륙붕단은 수심 100~150m에 위치하며 평균수심은 약 128m정도임
    • 대륙붕파 edge wave 육붕상에서 해안을 따라 진행하며 해안에서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 감쇠되는 일종의 장파. 보통 며칠 이상의 주기를 가지며 저기압 등의 대규모적인 기상변동이 해안을 따라 진행할 때 유발되는 것으로 생각됨
    • 대륙사면 Continental slope 대륙붕의 가장 바깥쪽 경계점을 지나 그 경사가 1:20 정도로 증가하는 이심으로서 대양저(Ocean floor)에 이르기까지를 말함. 대륙사면의 수심은 평균 4,000m 정도로 대륙붕에서 대양저에 이르기까지 지속되며 수직으로 그 폭이 9,000m 정도임
    • 대선 substitution vessel 가장 일반적인 운반선으로서 상갑판 위에 자재나 구조물을 건설현장까지 예항함. 갑판위에 장애물이 없으므로 선체보다 큰 물건도 갑판 위에 실을 수 있음. 단순 바지라고도 함
    • 대수속력 선박의 물에 대한 속력으로서 자기 선박 또는 다른 선박의 추진장치의 작용이나 그로 인한 선박의 타력(惰力)에 의하여 생기는 속력
  • 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확인
    • 부서 :
    • 연락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