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용어사전
-
관한 검색결과
총 "1,122개"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해양시설
海洋施設
자원의 탐사·개발, 해양과학조사, 선박의 계류(繫留)·수리·하역, 해상주거·관광·레저 등의 목적으로 해저(海底)에 고착된 교량·터널·케이블·인공섬·시설물이거나 해상부유 구조물로서 선박이 아닌 것
-
해양심층수
DSW(Deep Sea Water)
해수면 가까이에서 강수, 풍랑, 증발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 표층수(表層水)와 뚜렷하게 구분되어 200m 이하의 깊은 바다 속에서 순환하는 바닷물. 해양심층수는 대서양ㆍ인도양ㆍ태평양 등 전 세계를 순환하는 해수가 북대서양 그린란드나 남극 웨델해의 차가운 빙하해역을 만나면서 생성됨. 빙하해역에 도달하면서 수온이 2℃ 이하로 차가워지고 해수의 비중이 아주 커지게 되어 깊은 바다로 가라앉게 됨 해양심층수는 항상 2℃ 이하를 유지하고 있으며 해양식물 성장에 필수적인 미네랄과 영양염류가 매우 풍부할 뿐 아니라 유기물이나 병원균 등이 거의 없는 청정한 해양수자원으로 각광받고 있음 *우리나라의 해양심층수 취수해역(총 8개) : 강릉시 정동진·속초시 외옹치·울릉군 저동·동해시 추암·고성시 오호·양양시 원포·울릉군 태하·울릉군현포 등 *우리나라의 해양심층수는 약 169만㎢(동해, 표면적 130만㎢, 평균수심 1,543m, 수심 200m 이하기준)에 달하며, 수온 약 3℃ 이하, 염분 약 33.8~34.2psu, 용존산소가 풍부한 수괴로서 동해의 심층을 300~700년에 걸쳐 순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
해양쓰레기
고의 또는 부주의로 해안에 방치되거나 해양으로 유입?배출되어 해양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고형물로서 재질과 종류, 기존 용도를 불문 * 연간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159,800톤(육상기인 : 109,400톤, 해상기인 : 50,400톤)
-
해양쓰레기관리기본계획
해양쓰레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해양환경관리법 제24조제1항에 근거한 법정계획. ’08년 제1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09~’13)을 수립, 시행 중이며 주요내용은 해양쓰레기 발생 최소화, 해양쓰레기 수거?처리 능력 강화, 해양쓰레기 관리기반 구축, 시민참여 및 국제협력 강화임 * 제2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14~’18)을 ’13년말까지 수립예정
-
해양쓰레기대응센터
http://www.malic.or.kr 해양쓰레기 관리정책을 체계적, 과학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2011.11.29 해양환경관리공단에 설치하였으며, 주요 업무는 해양쓰레기 분포실태 조사,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해양쓰레기 통합정보시스템 운영 등임
-
해양쓰레기선상집하장
어업활동 중에 발생한 폐기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어항?포구에 설치하는 평부선 형태의 쓰레기 집하장 * ’13년 현재 전남 등 6개 지자체에 128개를 설치하여 운영중
-
해양쓰레기통합정보센터
해양쓰레기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2010.7~2011.12.31까지 구축하였으며 ?해양쓰레기 대응센터?에서 운영
-
해양안전종합정보시스템
GICOMS (General Information Center on Maritime Safety & Security)
선명, 선박번호, 선박의 종류 등 선박의 제원 및 해양사고 속보, 해적동향, 해상기상 상태, 선박검사정보 등 안전 운항관련 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우리나라 연안뿐만 아니라 전 세계 해역에서 운항하고 있는 우리나라 선박의 위치를 추적?관리하여 안전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에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해양사고 예방을 위해 관계기관 및 업?단체와의 정보공유를 통해 해양사고 예방에 기여
-
해양오염비상계획서
유조선의 유류하역이나, 부두접안 도중 해상 유류유출사고 발생시 취하여야 할 단계별 방제계획(防除計劃)으로 동 계획에 따라 평상시 훈련을 함으로써 오염사고 발생시 신속하고, 보다 효과적인 방제조치로 오염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계획서
-
해양원격탐사
Marine remote sensing
기술 인공위성 혹은 항공기로부터 해수에 접촉없이 그 해수에 포함된 물질의 종류 및 량과 해양현상의 물리적 성질을 파악할 수 있는 기술. 예로서 인공위성이나 항공기 등에 탑재된 관측기에 의해서 한국근해 수온분포, 식물플랑크톤 분포, 해수면 높이, 해상풍 등 양식장, 만내의 해양 변동 요소 및 환경 상태 등을 알아낼 수 있는 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