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용어사전
-
S관한 검색결과
총 "104개"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수색 및 구조용 레이더트랜스폰더
SART(Search and Rescue Radar Transponder)
선박의 조난 시에 생존자의 위치를 부근 선박의 9㎓대(X-Band) 레이더의 화면에 표시해 주는 것
-
수색구조
SAR(Search and Rescue)
항공기, 수상 함정, 잠수함 및 특수 기재를 사용하여 인원 등을 수색, 구조하는 것
-
스톡홀름협약
Stockholm Convention on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로부터 인간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국가간 합법적이고 구속력 있는 POPS에 관한 국제협약으로 국제연합환경계획(UNEP)이 주도하여 2001년 5월 22일 채택되었음
-
스파부이
Spar Buoy
부력실이 수중에 들어가는 구조로 침추와 표체가 바로 연결되어 이출거리가 발생하지 않는 고정식 부표
-
안강망
Stow nets on anchor
조류가 빠른 해역의 입구에 전개장치를 부착한 자루모양의 그물을 닻으로 일시적으로 고정시켜 놓고 조류에 밀려 그물안에 들어온 대상물을 잡는 어업
-
안전관리체제
SMS(Safety Management System)
회사와 선박의 직원이 회사의 안전 및 환경보호 방침을 효과적으로 이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문서화된 시스템
-
어업구조
Structure of fisheries
어업경영구조를 일반적으로 어업구조라고 함. 어업경영구조는 어떠한 종류의 개별경영체가 어업을 구성하고 있으며, 또한 그것은 각각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가를 말하는 것. 우리나라 어업구조를 보면 소수의 대규모 자본재적 어업을 정점(頂點)으로 하고, 압도적 다수의 영세어가어업을 넓은 저변(底邊)으로 하여, 그 중간에 잡다한 중소어업을 병존(竝存)시키고 있는 구조를 지님. 비 자본재적 어가어업 경영체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어업구조의 후진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우리나라 어업의 자본재적 발달의 낙후성을 나타냄
-
어족
Stock
어류중 단일어종에 속하는 개체군으로 일정한 분포권내에 서식하고 일정한 형태적 특징이나, 습성, 환경에 대해 군집생태학적 반응을 나타내는 일정한 크기의 생활집단
-
염건품
Salted and dried fish
원료를 그대로 또는 적당히 조리하여 수세한 다음 물간 또는 마른간하여 건조시킨 제품임 예) 굴비, 정어리, 전갱이, 꽁치, 고등어, 대구 등
-
염분
salinity
염분이란 해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염류의 농도로서, 1902년 국제해양학총회는 염분을 해수 1㎏에 녹아 있는 물질의 총량으로 정의하였으며 단위는 ‰ 혹은 ppt를 사용함. 이 때 해수 중의 모든 탄산염은 산화염으로 바꾸고 브롬과 요오드는 염소에 의해서 치환시키며, 유기물질은 480℃까지 산화시킨 다음 해수의 용해된 성분으로 계산에 포함시킴. 염분을 실제로 측정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염분-염소량 관계식인 S‰=1.80655 Cl‰ 에 의하여 염소량(Cl)을 측정하여 염분(S)을 구함. 최근에는 염분측정을 전기전도도가 염분에 비례하는 원리를 이용한 염분계(salinometer)에 의하여 측정함. 염분은 전기전도도, 굴절률, 밀도, 음속에 비례하고, 해수의 결빙온도에 반비례함 바닷물이 짠 이유는 해저에 깔려있는 암석으로부터 염분이 용해되었기 때문임. 침식작용과 동결작용으로 인해 대륙의 암석은 조각이 나서 바닷물에 염분을 더하게 됨. 그러나 강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물질들이 바닷물보다 더 많은 양의 탄산염을 함유하고 있으며 바닷물에는 염화물이 더 많이 들어 있음. 바닷물속의 염분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수억만년을 두고 조금씩 늘어나고 있음 대부분의 해수는 34.5‰를 평균으로 33~37‰ 사이의 염분을 가지고 있음. 대양에서 중앙부분은 표층수의 순환이 작기 때문에, 가장 높은 염분을 가지는 곳은 대양의 중앙 부분임. 대양중 가장 높은 염분을 가지는 곳은 북대서양(35.5‰)이고, 가장 낮은 염분을 가지는 곳은 북태평양(34.2‰)임. 위도와 기후는 표층의 염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 표층 염분은 위도 25°지역인 아열대 지역에서 최고값을 가지고, 적도 쪽이나 고위도 쪽으로 갈수록 염분이 낮아짐. 이러한 이유는 주로 저위도와 고위도 지역에서 강수량이 많기 때문임. 대양에서는 표층으로부터 수심 수 백m 아래까지 염분의 변화 폭이 1‰이내로 대단히 균일하다. 그리고, 표층의 염분이 심층보다 높다. 그 이유는 밀도에 대한 온도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염분은 낮지만, 차가운 해수가 심층으로 운반되기 때문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