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누리집 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 Busan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새창열기] 혁신24 홈페이지
  • 해양수산용어사전

    ㅇ관한 검색결과

    총 "196개"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용어사전 검색결과
    • 유가보조금(유류세연동보조금) 2001.6월 정부의 에너지 세제 개편으로 경유 및 LPG에 부과되는 유류세가 인상됨에 따라 운수업계의 부담 완화를 위해 그 일부 또는 전부를 보조금으로 지원하는 제도
    • 유럽해사안전청 EMSA(European Maritime Safety Agency) 대형 해양사고에 대한?유럽차원의 체계적인 공동대처를 위해 2002년 설립된 기관으로 EU 국가 간의 항만국통제 활동 조율, 정부대행 선급 심사, 항행정보 제공, 해사안전정책 및 법규 제정 등에 대한 기술적 지원 등을 담당
    • 유류오염 유류는 해양에 유출된 순간부터 대기와 해수와의 접촉을 통하여 확산, 증발 등의 물리·화학적인 변화와 미생물 분해 등에 의한 생물학적인 변화를 일으킴. 이러한 변화과정은 일차적으로 유류의 종류, 비중, 점도, 유동성 등의 물리·화학적인 특성과 유출량에 따라 크게 다르며, 기타 해상 기상조건 및 해면상태 등에 따라서 그 변화양상이 달라짐. 특히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에서 신조어 형태로 나타난 오일 볼(Oil ball)은 휘발성분들이 대기 중으로 휘발된 후 점성이 높아진 기름 덩어리가 해수 중의 입자물질들과 반응하여 밀도가 커지면서 저층으로 가라않게 되는데 그 형태가 볼 형태로 둥글다는 의미에서 유래됨. 유조선이 대형화 되면서 선박사고에 의한 해상유류오염사고는 점차 대형화되고, 세계적으로 큰 사고는 1967년 테리케년호사고를 시작으로 최근까지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해양생태계에 많은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음
    • 유류오염대응·대비및 협력에관한국제협약 International Convention on Oil Pollution Preparedness Response and Cooperation 국제해사기구(IMO)에서 ’90년에 채택한 국제협약으로 해양오염사고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비 및 대응을 위한 제반사항을 규정 * 구성 : 19개조의 본문과 1개의 부속서, 10개의 결의문 * 주요 내용(요약) ·기름오염의 비상계획 수립·기름오염사고 보고절차 수립·기름오염에 대비?대응하기 위한 국가 및 지역제도 구축 ·국제협력 ·방제기술 연구 및 개발 ·기술협력 ·다자간 협력체제 구축 ·국제해사기구의 역할 및 기능 ·방제비용의 상환 및 변제 등
    • 유류오염비상계획 유조선의 유류하역이나, 부두접안 도중 해상 유류유출사고 발생시 취하여야 할 단계별 방제계획(防除計劃)으로 동 계획에 따라 평상시 훈련을 함으로써 오염사고 발생시 신속하고, 보다 효과적인 방제조치로 오염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계획서
    • 유어 Game fishing 어업을 직업으로 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상대적인 말로 어업과 관계없이 취미로 하는 것을 말함
    • 유엔(UN)해양법협약 UNCLOS,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해양에서의 기득권을 고수하려는 선진국과 해양이 인류공동유산임을 주장하는 개도국간 논의의 결과로 ‘82.4.30일 채택하여, ’94.11.16 본 협약이 발효. ‘13.1.30일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165개국이 비준을 마쳤음. 본 협약은 포괄적인 해양헌장으로서 영해, 접속수역, 대륙붕, 공해, 심해저 등 해양의 모든 영역과 해양환경, 해양과학조사, 해양기술이전, 분쟁해결제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국가관할수역에 관한 전통적인 국제해양법의 보완, 발전(200해리 배타적 경제수역(EEZ)제도, 12해리 영해제도 확립 등)과 공해상의 심해저 개발과 관련 “국제해저기구”를 설립하여 심해저 자원의 개발 및 무분별한 개발을 규제토록 하고 해양환경보호 및 해양과학조사분야 등에 있어서 기본법규 확립과 해양분쟁해결을 위한 “국제해양법재판소” 설립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음(전문, 본문 17부 320개조, 9개 부속서, 6개 특별부속서, 4개 특별결의로 구성)
    • 유의파 significant wave 유의파란 실제로 바다 등에서 일어나는 불규칙한 파군을 편의적으로 단일한 주기와 파고로 대표한 파로서, 하나의 주어진 파군 중 파고가 높은 것부터 세어서 전체 개수의 1/3까지 골라 파고나 주기를 평균한 것. 삼분의 일(1/3) 최대파고라고도 하며 characteristic wave라고도 함. 항만구조물 설계에 적용하는 파랑임. 유의파 주기의 평균을 유의파주기(significant wave period, T1/3)라 함
    • 유의파고 Significant wave height 정해진 기간 내 파면의 영점이 음에서 양으로 교차하는 파고 중에서 가장 높은 파고 1/3의 평균파고
    • 유자망어업 Drift gill net 기다란 사각형 그물을 물의 흐름에 따라 흘러가도록 하면서 대상물이 그물코에 걸리거나 꽂히도록 하여 잡는 어업
  • 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확인
    • 부서 :
    • 연락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