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용어사전
-
ㅅ관한 검색결과
총 "143개"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식물플랑크톤의 천이
식물플랑크톤 각각의 종들이 최적으로 하는 생태적 환경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일년을 주기로 변화하는 온도와 빛의 광도, 시기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영양염의 농도와 여러 생물체로부터의 분비물에 의한 조건변화, 생물 자체가 갖는 증식률, 동물성 플랑크톤의 선택적 섭식(selective consumption)등에 의해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이 변화하는 현상
-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HACCP ; Hazards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1971년 미국의 Pillsbury company에 의해 개발된 일종이 품질관리제도로서 원재료부터 제조ㆍ가공, 제품의 보존 및 유통단계별 위해요소를 조사·분석하여 위해요소를 중점관리 하는 사전 예방적 제품위생관리제도. 식품의 원료생산에서부터 가공 및 유통의 전과정에서 위해물질들이 해당식품에 혼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관리방식
-
신개념선박구조기준
GBS(Goal-Based New Ship Construction Standards)
최소한 설계목표수명 25년 동안 선박의 구조강도가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선박을 설계·건조토록 규정. 2016.7.1일 이후 건조 계약되는 길이 150미터 이상의 유조선·산적화물선부터 GBS 기준을 적용 받아야 함
-
신고어업
영세 어업인이 면허나 허가와 같은 까다로운 절차를 밟지 않고도 소규모 어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써 면허어업, 허가어업 이외의 어업. 주소지 또는 조업 장소 안에서 연간 60일 이상 조업을 해야 하며, 어업 행위가 제한되거나 금지된 수면에서는 조업금지
* 신고어업의 종류
- 맨손어업 : 낫·호미 및 갈고리류 등을 이용하여 수산동식물을 포획·채취하는 어업
- 나잠어업 : 산소공급장치 없이 잠수하여 낫, 호미, 칼 등을 사용하여 패류, 해조류 등을 포획·채취하는 어업
- 투망어업 : 고기를 덮어서 잡을 수 있도록 그물 등을 던져서 수산동식물을 포획·채취하는 어업(투망어업은 수산업법에서는 신고어업이나 내수면어업에서는 허가어업임)
- 내수면어업개발촉진법에 의한 면허 또는 허가어업 이외의 어업
-
신규 점검제도
NIR(New Inspection Regime)
개별 선박의 안전관리등급을 3단계(High·Standard·Low Risk)로 나누고 등급에 따라 점검 주기*를 차별화 하는 방식으로 아·태지역 항만국통제 협력체(Tokyo-MOU)에서는 ’14년부터 제도 도입 예정 * High Risk(2~4개월), Standard Risk(5~8개월), Low Risk(9~18개월)로 나누어 점검주기를 차별화 함에 따라, 안전등급이 양호할수록 항만당국의 PSC 점검을 장기간 받지 않을 수 있음
-
신호홍염
Hand Flare
야간용 신호장비로서 사람이 손에 들고 사용하며 붉은색의 화염을 1분 이상 연속하여 발생
-
실용염분단위
Practical Salinity Scale;1978 : PSS78
대기압 아래에서 온도 15℃에서 측정한 해수시료의 전도도를 K15에 대한 비율 * K15 : 동일한 조건하에서 염화칼륨용액 1,000g중 염화칼륨이 32.4356g이 녹아 있을 때 측정한 전도도
-
심해시추계획
ODP
환원환경을 보기 위하여 퇴적물의 깊이 수백m의 퇴적물을 시추하여 공극수를 채취 조사하는 것
-
심해어
Deep sea fish
일반적으로 대륙붕보다 깊은 수심 200m 이상의 바다에 사는 어류로서 대체로 수심 100m 내외에서 주로 서식. 수심에 따라 서식분포 상태가 다르지만 현저하게 눈이 큰 것, 눈이 퇴화된 것, 입이나 위가 큰 것, 발광기(發光器)가 있는 것 등의 어류임
-
심해어장
Demersal fishing ground
심해의 정의는 일정하지 않아, 독일의 권터(Gunther)는 600m 이심(以深), 부라우어(Brauer)는 400m이심, 미국의 디인(Dean), 스웨덴의 에크만(Ekman)은 200m이심을 심해라고 하였다. 일반적으로는 대륙붕 사면인 200m이심설이 많이 통용되고 있음
-